실업 크레딧이라는 좋은 정책도 있지만, 현재 소득이 없는 관계로 실업급여를 받으면서 당분간 지내야 하는 제 입장에서
는 조금이라도 지출을 줄이는 방법을 찾아야 했습니다.
바로 국민연금 납부 예외 신청하는 건데요
국민연금 납부 예외 신청하게 되면 그동안 예외 시켰던 금액을 나중에 다 내야 할까 ? 고민도 많이들 하실 거예요
<like me~🤪🤪🤪>
하지만 그건 의무가 아니라 선택입니다
<예외 시켰던 금액을 나중에 다 내야 할까 ? 에 관한 자세한 내용 적어 드렸습니다 필요하신 다면 down 👇down👇>
납부 예외 신청하면 하면 가입 기간으로 인정이 안되어 노후 연금감소되는 되는 점은 알고 계셔야 해요
① 우선 국민연금 공단 홈페이지를 검색하여 들어갑니다.
찾기 힘드시면 검색창에 정부 24 국민연금 납부 예외라고 치면 바로 연결할 수 있는 창이 나올 겁니다.
본인이 편한 것으로 로그인을 진행하세요
② 전체 서비스 보기를 눌러 보면 노란색 동그라미가 쳐진 글씨가 보인다면 클릭해주세요
③ 동그라미 버튼을 눌렀다면 이런 창이 뜹니다 본인의 기본 사항을 꼼꼼하게 입력해 주세요
④ 기본사항을 입력한 뒤에 소득 중단 기간을 설정할 수 있고 최대 3년 이내로 설정하셔야 합니다
⑤ 4번까지 다 작성하셨으면 접수 결과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렇게 국민연금 납부 예외 신청 방법을 알아봤는데요.
난 그래도 걱정이 되어 납부를 하며 생활을 하고 싶다는 분들을 위해 tip 아닌 tip 더 챙겨 드립니다.
실업크레딧 제도는 본인의 연금 보험료의 25% 로만 납부하면 나머지는 국가에서 12개월까지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.
국민연금 보험료 대납도 있지만 전 가족에게 손 벌리고 싶지 않아 저는 패스했어요.
혹시 납부 예외 신청을 했어도 추후 납부 나 반납 제도도 있습니다.
혹 추후 납부를 신청 이후에 금액이 너무 커져서 걱정인 상황이 된다면 분할 납부 최대 60회까지 된다고 하니
너무 걱정 안 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.
납부 예외 신청 되어 있는데 취업을 했어요 어떡하죠?
->re: 우선 축하 드립니다 🎂🎂🎂🍰🍰🍰
국민연금적용 되는 직장에 입사를 한 경우 귀사에서 국민연금을 포함해서 4대보험 처리를 해주기 때문에 별도의 신고를 하지 않아도됩니다.
but ! 지역가입자의 경우에는 개인이 국민연금공단에 재개 신고를 해야합니다.
참고로 국민연금 전화번호 : 1335
전화하면 유료 입니다 😡😡
전화도 대기가 많아 여러 번 해도 받지 않아요
인터넷으로 우리 신청해요
합니다.